- 1. 논문 작성방법은 다음과 같으며, 양식에 맞게 구성되지 않은 논문은 접수하지 않는다.
-
2. 모든 논문은 다음과 같은 순서대로 집필되어야 한다.
-
(1) 논문제목
(연구비 지원 내용 및 학위논문을 표기할 경우, 논문제목 옆에 각주 *로 표시한다)
-
(2) 기고자의 국문 성명
- - 소속과 직위는 기고자명 옆에 각주 *로 표시
- - 2인 이상의 저자인 경우에는 각주의 직위 옆에 제1저자와 교신저자를 명시
- - (예) 00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부교수, 제1저자. 00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조교수, 교신저자.
- - 공동저자들 간에 제1저자 없이 공동작업을 했다고 자체적으로 인정한 경우에는 제1저자 표기를 하지 않음
-
(3) 국문 요약(A4 기준 1/2매 내외)
- 국문 요약에는 연구목적, 연구방법, 주요한 결과, 함의 및 제언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(주제어 포함).
- (4) 본 문
- (5) 참고문헌
-
(6) 영문 요약(A4 기준 1/2매 내외): 논문제목, 기고자 영문 성명, 영문 초록내용, Key words 순
- - (기고자 영문 성명 예) Hong, Kil Dong*
- - 직위, 학과, 소속기관, e-mail 주소는 기고자 영문성명 옆에 각주*를 표시
- - (각주 예) Associate Professor, Dept. of Social Welfare, 000University(kildong@hanmail.net)
- - 영문 요약에는 연구목적, 연구방법, 주요한 결과, 함의 및 제언이 반드시 포함되어야 한다(주제어 포함).
- (7) 기고자의 소속이 외국소재인 경우 재직증명서나 해당기관의 홈페이지 화면출력본 제출
-
3. 본문의 항목별 번호는 ‘Ⅰ, 1, 1), (1), ①, 가 ’의 순으로 한다.
- - Ⅰ, Ⅱ, Ⅲ 등은 가운데 정렬, 진하게, 글자크기 15
- - 1, 2, 3 등은 왼쪽 정렬, 진하게, 글자크기 13
- - 1), 2), 3) 등은 왼쪽 정렬, 들여쓰기 10.0 pt, 진하게, 글자크기 11
-
4. 논문은 아래의 기준에 의거하여 작성한다.
- (1) 글꼴: 휴먼명조
- (2) 글씨크기: 크기: 10, 장평: 95, 자간: -5,
- (3) 문단모양: 줄간: 170, 정렬방식: 혼합, 나머지는 모두 0으로 할 것
- (4) 용지설정: A4 용지여백(위쪽: 20, 아래쪽: 55 왼쪽: 35, 오른쪽: 35, 머리말: 13, 꼬리말: 12)
- 5. 논문 분량: A4 용지 25페이지 내외(총 30페이지를 넘지 않아야 한다.)
-
6. 각주, 표, 그림, 참고문헌 등의 세부사항은 다음의 형식에 준한다. 다음 형식에 따라 구성되지 않은 논문은 접수하지 않는다.
- (1) 주(註)는 내각주의 방법을 사용하고, 부가할 내용만 각주를 사용한다.
- (2) (홍길동, 1997: 112-114) (Duncan, 1969: 15)
- (3) 저자가 4인 이상인 경우에는 동양인의 경우 “○○○ 외”로, 서양인의 경우는 공저1인 이름 다음에 “et al.”을 쓴다.
- (4) 표 제목은 <표 1> 등으로 표기하여 상단, 가운데 정렬하고, 그림 제목은 <그림 1> 등으로 표기하여 하단 가운데 정렬한다. 표와 그림의 자료출처가 있는 경우, “자료: ”라고 쓴 다음 출처를 밝히며, 그 형식은 참고문헌을 따른다.
그림은 원본과 파일을 함께 우송하여야 한다.
-
(5) 참고문헌은 본문이 끝난 후에 본문이나 각주에 나타난 모든 문헌만을 기록한다.
- ① 참고문헌은 국문, 중국어, 일본어 등 동양(한자 사용권) 문헌부터 가나다순으로 제 시하고 그 다음에 영문 등 알파벳으로 표기된 저자의 문헌을 제시한다.
- ② 문단모양은 내어쓰기 30.0pt로 한다.
- ③ 같은 저자의 저서가 여러 개 있는 경우는 최근 출판년도 순으로 기록하고, 같은 해에 씌어진 것은 본문에 인용된 순서에 따라 출판된 연도뒤에 a, b, c를 첨가하며(예: 1990a, 1990b) 이때 맨 앞의 저자 이름은 반복을 피하고 로 대체한다.
- ④ 국문, 한자 문헌의 논문은 “ ”, 저서는 『 』를 사용하고, 영문논문은 “ ”, 저서는 이탤릭체로 한다.
-
⑤ 참고문헌의 제시방법
-
[단행본]
홍길동. 1990. 『조사분석』 서울: 박달사.
홍길동․임꺽정. 2006.『사회복지개론』 서울: 박달사.
Kerlinger, Ⅰ. N. 1995. Behavioral Research. New York: The Free Press.
Kerlinger, Ⅰ. N., Beker, R. A., & Porter, S. B. 1997. Social Science Research. New York: The Free Press.
-
[논문]
홍길동. 1990. “여성문제.” 『한국사회복지학』 27: 147-165.
홍길동․임꺽정. 2006. “여성문제의 이해.” 『한국사회복지학』 47: 17-35.
Paglin, M. 1992. “The Trend of Inequality.” Economic Review 65(2): 599-609.
Kerlinger, Ⅰ. N., & Porter, S. B. 1997. “Ethics of Social Science Research.” Social Seience Research 65(2): 599-609.
-
[편집한 책]
홍길동 편. 1990. 『현대문제론』 서울: 한국연구소.
Thomas, H. ed. 1997. Social Workers. New York: The Free Press.
-
[번역한 책]
Schuerman, R. 1986. 『사회복지평가론』 홍길동 외 3인 역. 서울: 박달사.
Durkheim, E. 1960. Suicide. Translated by J. Spaulding & Simpson. Glencoe, IL: The Free Press.
-
[편집한 책의 일부]
홍길동. 1997. “기술구조와 노동자 소외의식.” 임꺽정 편. 『불평등』 서울: 박달사. pp. 153-180.
Charlotte, I. 1980. “The Coming of Age”. In C. Fade (ed.), Aging in Culture. pp.80-100. New York: J. F. Bergin.
-
[학위논문]
홍길동. 1997. “직무성과 결정요인.” 한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학위논문.
Yee, H. 1993. “Social Worker's Burnout.” Ph. D. dissertation. Cornell University.
-
[신문기사]
“노인부부 83%이상 만족.” 『신라일보』 1990. 9. 17.
“Advice to Overweight." The New York Times. June 12, 1990.
-
[인터넷 사이트]
홍길동. 2003. “춘계학술대회 안내.” 2003년 4월 29일,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홈페이지: http:// www.childwelfare.or.kr에서 검색
Chou, L., McClintock, R., Moretti, F., & Nix, D. H. 1993. “Technology and Education.” Retrieved August 24, 2000, from Columbia University, Institute for Learning Technologies Web Site: http://www.ilt.columbia.edu/publications/papers/newwinel.html
상기의 형식에 의하지 않은 원고는 접수하지 않을 예정이므로 반드시 준수하시기 바랍니다.